Home
home
버블박스
home
🕶️

slug란?

햇갈리거나 잘 모르는 이론 및 개념이 있다면 아래에 남겨주세요.
버블 활용 질문은 가급적 모두의 노코드에 남겨주세요.

1. Slug 넌 도대체 뭐하는 놈이냐?

버블에서 테이블을 만들 때,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필드들이 있습니다. Creator, Modified Date, Created Date는 있는데, 도대체 Slug는 무슨 목적으로 쓰이는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사실 Slug는 UX와 SEO에 매우 중요한 친구입니다.
UX 측면 shortURL처럼 페이지 경로를 더 깔끔하게 만듭니다.
SEO 측면 크롤러 봇이 페이지를 더 쉽게 이해하도록 만듭니다.

2. UX 측면 shortURL처럼 페이지 경로를 더 깔끔하게 만듭니다.

버블 페이지 설정 창의 [Type of content]에서 현재 페이지가 전달 받을 데이터 타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보여지는 데이터 타입은 버블에 존재하는 데이터 테이블입니다.
데이터 타입을 선택한 순간부터 페이지는 무조건 해당 테이블에 존재하는 레코드를 받게 됩니다. 그리고 페이지 경로는 아래처럼 바뀌게 됩니다. 원래는 페이지 이름으로 경로가 끝나지만, 이제 페이지 이름 뒤에 하위 경로로 record의 id 값이 들어옵니다. 여기서 recored Id는 레코드(a.k.a 행)의 unique Id 필드 값입니다.
#미설정 시 https://{domain}/{pageName} #설정 시 https://{domain}/{pageName}/{recordId}
Python
복사
예를 들어 마이페이지에서 [Type of content]를 [user] 테이블로 선택했다고 합시다. 그리고 아래 유저의 마이 페이지에 들어간다고 하면, 페이지 경로는 https://{domain}/mypage/1712493589620x152226738068546900이 됩니다. 여기서 1712493589620x152226738068546900는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unique Id 값입니다.
다만 유저 입장에서 https://{domain}/mypage/1712493589620x152226738068546900는 너무도 답답하고 긴 페이지 경로입니다. 이때 1712493589620x152226738068546900 부분을 다른 글자로 표현할 수 있는데, 바로 slug에 입력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위 유저 레코드의 [Slug] 필드에 ‘bubblebox’라고 입력을 한다면, 이제 해당 마이페이지의 경로는 “https://{domain}/mypage/1712493589620x152226738068546900”이 아니라 “https://{domain}/mypage/bubblebox”가 됩니다.
참고로 Slug는 중복이 안 됩니다. 왜냐하면 Slug로 페이지 경로를 대신 나타내는데, 서로 다른 페이지인데 동일한 경로에 존재할 수 없으니깐요! 그래서 중복된 Slug가 있다면, 버블에서 자동적으로 뒤에 숫자를 붙여서 고유성을 보장합니다.

3. SEO 측면 크롤러 봇이 페이지를 더 쉽게 이해하도록 만듭니다.

SEO는 구글, 네이버 등에서 페이지를 검색 결과로 더 잘 노출하게 만들게 하는 겁니다. 페이지 검색 결과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포탈의 크롤러 봇이 페이지를 방문
2.
해당 페이지에 있는 정보를 확인
3.
유저가 포탈에서 검색을 했을 때, 해당 검색 키워드에 페이지의 정보를 비교
4.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페이지 정보를 비교한 후, 가장 관련성이 높은 페이지부터 상위 노출
위 원리를 봤을 때, 검색을 더 잘되게 만들려면 우선 크롤러 봇이 페이지 정보를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이때, 페이지 경로도 크롤러 봇이 페이지 정보를 이해하는 데 큰 요소가 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경로가 “https://{domain}/blog/nocode_bubble”이라고 한다면, 대충 봐도 “노코드 툴 버블”을 다루는 페이지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https://{domain}/blog/1712493589620x152226738068546900”라고 한다면, 어떤 페이지인지 감이 오시나요?
이처럼 slug는 크롤러봇이 페이지가 대충 어떤 내용인지를 알려주는 데 활용됩니다. 결론적으로 검색 결과에 상위 노출 기회가 높아집니다.